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2

고대의 잃어버린 과학-스톤헨지, 남김과 질문, 인간의 거울 스톤헨지영국 솔즈베리 평원에 거대한 돌들이 수천 년 간 원형을 이루고 서 있다. 폭 6미터, 깊이 1.4미터 도랑에 둘러싸인 원형 광장의 형태로 원의 지름은 약 98미터이다. 돌들의 무게는 40~50톤으로 돌 위에 얹은 문의 형태(삼중석)가 특징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그 누구도 확실한 목적과 세운 방법을 모르고 있다. 솔즈베리 평원에서 찾을 수 없는 이 돌들은 30km~25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도대체 어떻게?, 왜?, 누가?라는 질문에 답을 찾지 못했다. 스톤헨지의 목적에는 다양한 가설들이 있다. 첫번째는 천문 관측설이다. 하지와 동지에 뜨는 태양이 특정 돌 사이로 뜨도록 정렬이 돼있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종교의식을 하던 곳이라는 설이다. 유골과 동물의 .. 2025. 4. 5.
바로크 미술가-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빛과 색채, 고요함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얀 베르메르)짧은 생을 살다 간 페르메이르는 네덜란드의 '황금시대' 때 활동한다. 그의 삶에 대해 그다지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는 1632년에 태어나 델프트라는 도시에서 활동한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여관을 운영하며 직물공으로 일하며 그곳의 화가들과 약간의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원래 개신교였는데 카타리나 볼네스와 결혼하며 가톨릭으로 개종한다. 그는 '성 루카 길드'라는 델프트 화가 조합에 가입하며 정식 화가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그의 작품은 매우 정교하지만 그만큼 속도가 느렸다. 그래서 지금까지 남은 작품은 35~40여 점이 남았고 그만큼 그의 작품은 희소성이 매우 높다. 초기에는 신화나 종교적 주제를 다뤘지만 그의 대표적인 작품은 일상적인 실내 장면을 그린 그림이.. 2025. 4. 4.
영화 '마션'-인간 생존과 기술, 유머 영화 '마션'2015년 공개된 미국 SF 영화로, 앤디 위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리들리 스콧이 메가폰을 잡았다. 리들리 스콧은 시각적 스타일과 철학적 질문을 결합하는 연출로 유명하다. 비주얼의 정교함과 인간성과 생존과 운명에 대한 질문을 그의 영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리들리 스콧은 건축과 디자인을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세밀한 미장센을 보여준다. 대표적인 영화로는 '에일리언' , '블레이드 러너' 등이 있다. 역사와 철학적 배경으로 의미와 개인의 역할에 대한 강조가 된 작품은 '글래디에이터' , '킹덤 오브 헤븐' , ' 나폴레옹' 등이 있다. 역시 역사물에서도 미장센은 철저한 고증을 거쳐 연출한다. 그리고 '마션'에서는 생존과 운명의 탐구에 몰두한다. 화성 탐사 도중 사고로 홀로 남은 마크 와트니(.. 2025. 4. 3.
도시 인문학 1 - 도시의 역사와 기원, 발달, 철학 도시의 역사와 기원도시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을 넘어서, 사회적, 경제적 활동이 집중되는 공간이다. 이는 사람들의 집단적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일정한 행정적 체계와 기능적 분업을 가지고 있다. 원래의 목적은 상업, 종교, 행정 등이 있다. 고대부터 도시는 집단적 생활을 가능하게 했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킨다. 우리가 역사책에서 배운 고대 도시는 메소포타미아이다. 가장 오래된 도시 문명의 발상지로 우르, 바빌로니아 등의 도시가 있다. 이 도시는 최초로 농업을 중심으로 한 도시기 생성되면서 많은 건축물과 시장이 형성된다. 또한 그 안에 제도적 구조를 만들어 법과 경제 그리고 종교적인 도시가 된다. 고대 이집트도 농경 중심의 도시였다. 나일강을 중심으로 한 이 도시는 홍수로 인한 자연재해 덕에.. 2025. 4. 1.
오페라 '카르멘'-조르주 비제, 의미 조르주 비제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비제는 성악 교사인 아버지와 피아니스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다. 어려서부터 음악적 재능이 탁월하여 10세 때 파리음악원에 들어가 피아노와 오르간 그리고 작곡을 배운다. 프랑스 최고 권위의 작곡상인 '로마 대상'을 수상하며 로마로 유학을 갔다가 다시 돌아와 오페라 작곡에 주력한다. 그는 오페라 '진주조개잡이'를 작곡을 시작으로 '로마의 추억' , 연극을 위한  '아를의 여인' 등 작곡하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한다. 그리고 메리메의 소설 '카르멘'을 바탕으로 오페라 '카르멘'을 작곡한다. 하지만 초연은 혹평을 받아다. 그 후 3개월 만에 그는 급성 심근경색으로 세계적인 대성공을 보지 못한 채 36년의 짧은 생을 마감한다. 오페라 '카르멘'은 당시 프랑스의 분위기와는 어울리.. 2025. 3. 31.
희곡 '죄 지은 어머니'-보마르셰 3부작, 시대상, 가족 희곡 '죄지은 어머니'피가로 3부작의 마지막 작품으로, '세빌리아의 이발사'와 '피가로의 결혼' 이후의 이야기를 한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흘렀고, 젊었을 때 벌어진 일들이 하나씩 드러나며 갈등이 시작된다. '세빌리아의 이발사'에서 순수한 사랑을 시작했던 백작과 로지나는 피가로와 수잔나의 도움으로 결혼에 성공한다. 하지만 백작의 무관심과 외도는 로지나를 힘들게 한다. '피가로의 결혼'에서는 힘들어하는 로지나의 감정이 충분히 드러난다. 이때 로지나를 사모하는 젊은 청년 케루비노가 등장한다. 그는 백작부인과 수잔나에게 추파를 던진다. 하지만 백작에게 발각되어 포탄이 떨어지는 군대로 보내진다. '피가로의 결혼'에서는 이 장면이 재미있게 짧게 그려졌다. 작은 비중의 케루비노의 역할이 왜 들어갔을까는 '죄지은 어머.. 2025.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