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철학 #리더의공간 #폴리매스3

바로크 미술가-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빛과 색채, 고요함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얀 베르메르)짧은 생을 살다 간 페르메이르는 네덜란드의 '황금시대' 때 활동한다. 그의 삶에 대해 그다지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는 1632년에 태어나 델프트라는 도시에서 활동한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여관을 운영하며 직물공으로 일하며 그곳의 화가들과 약간의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원래 개신교였는데 카타리나 볼네스와 결혼하며 가톨릭으로 개종한다. 그는 '성 루카 길드'라는 델프트 화가 조합에 가입하며 정식 화가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그의 작품은 매우 정교하지만 그만큼 속도가 느렸다. 그래서 지금까지 남은 작품은 35~40여 점이 남았고 그만큼 그의 작품은 희소성이 매우 높다. 초기에는 신화나 종교적 주제를 다뤘지만 그의 대표적인 작품은 일상적인 실내 장면을 그린 그림이.. 2025. 4. 4.
On the Map- 뇌 속의 지도, 뇌의 확장 아인슈타인의 뇌1955년 4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나자, 병리학자 토마스 하비는 그의 뇌를 해부대에 올렸다. 그의 궁금증, 아니 우리 모두의 궁금증은 아인슈타인의 뇌와 평범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였다. 분석 결과, 일반인과 조금 다른 부분이 있었다. 공간적, 수학적, 과학적 사고를 담당하는 두정엽이 평균보다 컸고, 좌측과 우측이 비대칭이었단다. 신경교세포의 밀도도 일반인보다 높았다. 뇌 측면을 따라 길게 연결돼 있는 실비우스 열이 아주 짧았다. 하지만 이 결과들이 그의 지능과 뇌 사용량을 증명하지는 못한다. 흔히 일반인들은 뇌의 10% 정도 사용한다고 한다. 사실 과학적으로 말도 안 되는 이야기다. 우리의 뇌는 모든 영역을 사용한다. 특히 음악을 듣거나 연주를 하면 안 쓰는 영역을 찾는.. 2025. 3. 19.
오페라 '세빌리아의 이발사'-보마르셰 피가로 3부작 피에르 오귀스탱 카롱 드 보마르셰보마르셰는 18세기 프랑스 극작가, 시계 제작자, 사업가, 외교관, 출판가, 음악가, 무기 상인, 혁명가 등으로 다채로운 삶을 살았다. 원래 시계 제작자의 아들로 태어나 아버지의 기술을 이어받았다. 독창적인 시계태엽 장치(이스케이프먼트-톱니바퀴의 속도를 일정하게 해주는 기구)를 개발하며 왕에게 귀족 작위를 받는다. 그는 여러 분야에 관심이 많아 부를 축적했고 후에는 정치와 외교 활동에도 깊이 개입하며 프랑스 정부의 비밀 대리인으로 활동하며 무기와 군수품을 미국에 공급한다. 프랑스혁명 당시 귀족 사회의 비판과 조롱의 내용을 담은 '피가로의 결혼'을 발표하면서 시민들의 계몽의 배경이 된다는 평가를 받는다. 보마르셰 피가로 3부작피가로 3부작은 당시의 왕정, 귀족 사회의 신분제.. 2025.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