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잃어버린것 #웃음 #아리스토텔레스 #결핍 #모순 #존재 #칸트 #카뮈 #베르그송 #사회장치 #회복 #성찰 #공동체 #삶 #근본 #인문학 #리더의공간 #폴리매스1 우리가 잃어버린 것 11 - 웃음 웃음, 인간 존재의 불완전성을 비추는 거울웃음은 인간이 가진 가장 본능적이고도 섬세한 표현이다. 그러나 웃음은 단순한 유희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부조리나 모순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웃을 수 있다고 보았다. 웃음은 인간의 이성과 감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우리는 결핍된 존재이기에, 완전하지 않은 세계를 마주할 때 그 모순 속에서 웃게 된다.어린 시절의 웃음은 순수하다. 이유 없이 터지는 웃음, 친구와의 장난 속의 웃음, 가족과 나누는 대화에서 웃었다. 하지만 성인이 되며 사회적 규범과 자기 통제의 무게가 커질수록 우리는 웃음을 잃는다. 웃음을 잃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쁘지 않아서가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자연스러운 감각과 존재의 거리감을 잃는 일이다. 웃음을 잃어버린 시대에 대해 생각.. 2025. 10. 14. 이전 1 다음